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 구석구석/생활 정치 경제

🇮🇱 이스라엘 역사와 주변국과의 전쟁사: 고대부터 미국의 이란폭격 까지

by 자신감 있는 표정을 지으면 공감 하트가 생긴다 . 2025. 6. 21.
반응형

미, 이란 포르도 핵시설 공격에 벙커버스터 6개 투하

🇮🇱 이스라엘 역사와 전쟁사

고대부터 미국의 이란폭격 까지

 

미국 공군 B- 2 스텔스 폭격기

📍중동의 작은 땅덩어리 하나가 인류 역사상 가장 격렬한 갈등의 무대가 되었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공유하는 이 땅은 불과 2만여 평방킬로미터에 불과하지만, 수천 년간 수많은 민족과 제국들이 피를 흘린 곳이기도 합니다.

예루살렘 전경
예루살렘 시가지
예루살렘국기

 

 

 

이스라엘위치
 

 

고대: 가나안 땅의 탄생

성경 시대의 전쟁들

(기원전 2000년~기원전 586년)

이스라엘의 역사는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아 가나안 땅으로 이주하면서 시작됩니다. 하지만 이 땅은 결코 평화롭게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텔 하솔 아크로폴리스의 공중 사진
텔 하솔 아랫도시의 해자.
녹색 원은 가나안 궁전에서 불에 탄 흔적이 뚜렷하게 보이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 이집트에서 탈출한 이스라엘 민족이 여리고 성을 시작으로 가나안 7족속을 정복
  • 헷족, 기르가스족, 아모리족, 가나안족, 브리스족, 히위족, 여부스족과의 연이은 전투

⚔️사사시대의 끝없는 갈등 (기원전 1200-1050년)

  • 블레셋족과의 치열한 전쟁: 삼손의 영웅담이 탄생한 시대
  • 미디안족, 암몬족, 모압족 등 주변 민족들과의 반복적인 충돌

👑통일왕국 시대 (기원전 1050-586년)

  • 다윗왕의 정복전쟁: 블레셋, 모압, 암몬, 에돔, 아람 등을 정복하며 최대 영토 확장
  • 솔로몬 이후 남북 분열:
    • 북이스라엘(앗수르에 멸망, 기원전 722년)
    • 남유다(바벨론에 멸망, 기원전 586년)
 

🏛️고대 제국들의 지배와 저항

바벨론 포로기와 페르시아의 관용

(기원전 586-332년)

70년간의 바벨론 포로생활은 유대민족에게 깊은 트라우마를 남겼습니다. 하지만 페르시아의 키루스 대왕이 "키루스 칙령으로 유대인을 포함한 제국의 모든 비자유민을 해방"시키면서 유대인들은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습니다.

헬레니즘과 로마제국 시대

(기원전 332년-서기 135년)

🗡️마카비 혁명 (기원전 167-160년)

알렉산더 대왕 이후 셀레우코스 왕조의 안티오쿠스 4세가 예루살렘 성전을 더럽히며 유대교를 박해하자, 마타디아와 그의 아들들이 이끈 독립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유다 마카비의 게릴라전으로 셀레우코스군을 물리치고 성전을 정화했습니다.

🏺로마 제국과의 절망적인 항쟁

주요 전쟁들:

  • 1차 유대-로마 전쟁 (66-73년): 예루살렘 성전 파괴, 마사다 요새의 집단자결
  • 2차 유대-로마 전쟁 (115-117년): 디아스포라 지역의 유대인 봉기
  • 3차 유대-로마 전쟁 (132-135년): 바르 코크바의 마지막 독립투쟁
 

🌍디아스포라: 1900년의 기다림

중세와 근세: 떠돌이 민족의 슬픔

서기 135년 로마에 의해 고향에서 쫓겨난 유대인들은 전 세계로 흩어졌습니다. 이들은 각지에서 기독교와 이슬람의 박해를 받으면서도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했습니다.

 

 

 

**디아스포라(Diaspora)**는 특정 민족이나 종교 집단이 자신들의 고향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형성한 공동체를 의미합니다. '흩뿌리다'라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들은 종종 원래의 문화적, 언어적 정체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주요 박해 사건들:

  • 십자군 전쟁 시기 (1096-1291년): 예루살렘을 향하는 십자군들이 유럽 각지의 유대인 공동체를 학살
  • 스페인 추방 (1492년): 가톨릭 군주들이 유대인들을 강제 추방
  • 동유럽 포그롬: 러시아와 폴란드에서 반복된 유대인 학살

💫시온주의 운동: 꿈의 재점화

19세기 말, 테오도르 헤르츨의 《유대인 국가》 출간을 계기로 시온주의 운동이 본격화됩니다. 유대인들은 팔레스타인으로의 귀환을 꿈꾸기 시작했고, 오스만 제국 치하의 팔레스타인에는 소수의 유대인 정착촌이 건설되기 시작했습니다.

 

🏗️현대 이스라엘의 탄생

영국위임통치와 갈등의 씨앗

(1917-1948년)

📜밸푸어 선언 (1917년)

영국이 "팔레스타인에 유대민족의 민족적 고향 건설"을 약속하면서 현대 중동 갈등의 뿌리가 시작되었습니다.

아랍-유대인 갈등의 격화

  • 1920년, 1929년: 예루살렘과 헤브론에서 아랍인들의 유대인 학살
  • 1936-1939년 아랍 대봉기: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의 반영국, 반유대인 무장봉기
 

⚔️중동전쟁 시대

1️⃣1차 중동전쟁 (1948-1949년)

독립전쟁

1948년 5월 14일, 다비드 벤구리온이 이스라엘 독립을 선언했습니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바로 다음 날부터 주변 아랍국가들의 침공이 시작되었습니다.

대부분 분쟁의 역사는 비극의 시작을 알리는 ‘방아쇠’가 당겨지는 날이 존재한다. 20세기 중반 이후 전 세계의 화약고가 된 중동의 역사에서는 1948년 5월14일이 그런 날이다. 초대 이스라엘 총리 다비드 벤구리온이 텔아비브 박물관에서 독립선언문을 발표(사진)하며 전 세계에 이스라엘의 건국을 선포했기 때문이다.

다비드 벤구리온의 독립선언 장면 또는 1948년 독립선언서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 독립선언 역사적 순간

참전국

이집트,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연합군 VS 갓 태어난 이스라엘

전쟁의 결과

  • ✅ 이스라엘 승리, 원래 유엔 분할계획보다 더 넓은 영토 확보
  • 😢 약 75만 명의 팔레스타인 난민 발생 (나크바)
  • 🔄 아랍권에서 약 85만 명의 유대인이 추방되어 이스라엘로 대거 이주

2️⃣2차 중동전쟁 (1956년)

수에즈 위기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가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하자, 영국-프랑스-이스라엘이 삼각동맹을 결성하여 이집트를 침공했습니다. 하지만 미국과 소련의 압력으로 철군하게 되었습니다.

3️⃣3차 중동전쟁 (1967년)

6일 전쟁

이집트가 유엔평화유지군 철수를 요구하고 아카바만을 봉쇄하자, 이스라엘이 선제공격을 감행했습니다.

기적 같은 승리

  • 6월 5일 새벽: 이스라엘 공군이 이집트 공군기지를 기습하여 300여 대의 전투기를 격파
  • 6일 만에: 서안지구, 가자지구, 골란고원, 시나이반도를 점령
  • 예루살렘 통합: 1900년 만에 유대인이 통곡의 벽에 기도할 수 있게 됨
2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이스라엘 국기를 든 사람들이 '예루살렘의 날'을 기념하며 행진하고 있다. 예루살렘의 날은 중동전쟁의 기적이라 불리는 1967년 6월의 6일 전쟁 승리로 예루살렘을 탈환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예루살렘의 날을 맞이해 대형 이스라엘 국기가 통곡의 벽 앞에서 펼쳐지고 있다.  출처: ‘예루살렘의 날’ 깃발 행진…구시가지 곳곳서 충돌 발생

1967년 6일 전쟁의 승리와 예루살렘 통합의 감동적 순간

4️⃣4차 중동전쟁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이집트와 시리아가 유대교 최대 명절인 욤 키푸르(속죄일)에 기습공격을 감행했습니다.

🔄반전 드라마

  • 초기: 아랍군의 성공적인 공세로 이스라엘이 위기에 몰림
  • 중반: 미국의 대규모 무기지원과 이스라엘의 반격으로 전세 역전
  • 마무리: 아리엘 샤론의 수에즈 운하 도하작전으로 이집트군 포위
 

🕊️평화의 시도와 새로운 갈등

이집트와의 평화 (1979년)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이 1977년 예루살렘을 전격 방문하면서 중동에 평화 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의 중재로 캠프 데이비드 협정이 체결되었고, 이스라엘은 시나이반도를 이집트에 반환하는 대신 이집트로부터 공식적인 국가 승인을 받았습니다.

1978년 9월 17일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열린 캠프데이비드 평화협정 체결식에서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왼쪽)과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가운데), 메나켐 베긴 이스라엘 총리가 악수하고 있다.(1978.9.17)
사다트-베긴-카터의 캠프 데이비드 협정 서명식

1978년 캠프 데이비드 협정 - 중동 평화의 역사적 순간

 

레바논 전쟁들

  • 1차 레바논 전쟁 (1982-1985년): PLO를 축출하기 위해 레바논 침공, 사브라와 샤틸라 팔레스타인 난민촌 학살 사건으로 국제적 비난
  • 2차 레바논 전쟁 (2006년): 헤즈볼라와의 34일간 치열한 전투, 이스라엘의 압도적 군사력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승리를 거두지 못함

인티파다: 팔레스타인의 저항

  • 1차 인티파다 (1987-1993년): 팔레스타인 청소년들이 돌팔매질로 이스라엘군에 맞섬, 국제 여론이 팔레스타인에게 동조하기 시작
  • 2차 인티파다 (2000-2005년): 아리엘 샤론의 성전산 방문을 계기로 폭발, 자살폭탄테러와 군사작전이 반복되며 수천 명 사망
 

🚀가자 전쟁들: 끝없는 악순환

2008-2009년 캐스트 리드 작전

(Cast Lead Operation)

2008년 12월 27일, 하마스와의 6개월 휴전 협정이 종료되자마자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대대적으로 공습하면서 시작된 첫 번째 가자 전쟁입니다.

📊주요 특징

  • 기간: 22일간 지속
  • 목적: 하마스의 로켓 발사 능력을 무력화
  • 논란: 유엔 시설 공격으로 국제적 비난

이스라엘 군이 가자지구 북부 자발리야에서 유엔팔레스타인난민기구(UNRWA)가 운영하는 알 팍후라 학교를 향해 수 차례 포탄을 발사, 30명 이상을 숨지게 했고, 국제법상 금지된 유엔 시설 공격으로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습니다.

2009년 1월 14일, '캐스트 리드 작전' 중 가자지구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가운데 이스라엘-가자 국경에 서 있는 이스라엘 탱크들
2009년 1월 19일, 가자 지구 자발리야에서 '캐스트 리드 작전'이 진행 중이던 한 팔레스타인 가족이 집 잔해 속에 앉아 있다. (아베드 라힘 카티브/플래시90)

 

2008-2009년 가자 전쟁 

캐스트 리드 작전 - 첫 번째 대규모 가자 전쟁의 참상

 

2012년 구름의 기둥 작전

(Pillar of Defense Operation)

하마스 최고 군사령관 아흐마드 자바리가 이스라엘에 의해서 암살된 것을 계기로 가자 지구에서 다시 전면전이 벌어졌습니다.

🐦SNS 시대의 전쟁

흥미롭게도 이 전쟁은 이스라엘의 군사령부가 트위터를 통한 선전포고로 발발되었으며, SNS 시대의 새로운 전쟁 양상을 보여주었습니다.

22년 전 걸프 전쟁에서 CNN에서 전쟁을 생중계한 것처럼 이제는 전쟁이 트위터로 중계된다며 다시 한 번 SNS의 주요도를 실감하는 분위기였습니다.

2014년 보호의 경계 작전

(Protective Edge Operation)

2014년 7월 8일~8월 26일 약 1달 반동안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에 일어난 전쟁으로 제3차 가자 전쟁이라고도 불립니다.

🔥격렬한 전면전

이번 전쟁은 이전과 달리 규모가 컸으며 양측이 치열하게 싸웠던 전면전이었습니다.

😢심각한 민간인 피해

  • 팔레스타인 사망자: 2,168명
  • 팔레스타인 부상자: 10,895명
  • 민간인 비율: 사망자 중 70%가 민간인 (유엔 발표)

UN 인권이사회는 양측에 전쟁범죄 혐의가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2021년 수호의 벽 작전

(Guardian of the Walls Operation)

이스라엘이 이슬람의 성지인 알 아크사 모스크에서 시위를 펼치던 팔레스타인 시위대를 강경 진압하여 사상자가 나오게 되면서 이에 분노한 하마스가 까삼 로켓으로 공격하자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를 공습하여 발생한 무력충돌사건입니다.

🗳️정치적 배경

네타냐후 총리는 경제 불황과 본인의 각종 비리로 인해 2021년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에서 사실상 패배하는 등 입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국면 전환을 위해 아랍인에 대하여 강제 이주를 시작했고, 이것이 갈등의 불씨가 되었습니다.

최후통첩과 로켓 공격

하마스가 알 아크사 모스크를 점거한 아랍인 시위대를 퇴거시키는 이스라엘 경찰에 대하여 오후 6시까지 철수하라고 협박했습니다. 데드라인이 지나자 하마스는 즉시 최소 150발 이상의 로켓포를 발사했습니다.

 

🔥21세기의 새로운 위협: 이란과의 대결

하마스와 헤즈볼라: 이란의 대리전

이란은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이스라엘을 "작은 사탄"으로 규정하고 각종 대리세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압박해왔습니다.

2023-2025년: 전면전으로 번진 갈등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기습공격

하마스가 이스라엘 남부에 대규모 기습공격을 감행하면서 새로운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가자 분쟁을 넘어 이란과 이스라엘 간의 전면 대결로 확산되었습니다.

 

하루 180명 꼴로 죽고 절반이 기근…하마스·네타냐후 생존게임 된 전쟁

2023년 10월 7일 하마스 공격 당시 상황 또는 이스라엘 방어 시스템

2023년 10월 7일 하마스 기습공격과 이스라엘의 대응

🦁'일어나는 사자' 작전의 충격

2025년 6월 13일 4시, 이스라엘이 테헤란 등 이란 전역의 주요 도시와 핵·군사시설을 대대적으로 공격하고 이란이 반격함으로써 시작된 양국 간의 무력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공격은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 이후 이란에 가해진 최대 규모의 공격으로, 이스라엘은 이란의 핵시설과 군 지휘부를 직접 타격했습니다.

🚀이란의 보복과 확전

이란은 100여기의 드론과 150여발의 탄도 미사일을 동원해 텔아비브, 하이파, 예루살렘 등을 타격하며 즉각 반격에 나섰습니다. 이는 과거 2024년 4월과 10월의 공격들보다 훨씬 더 큰 피해를 야기했습니다.

이스라엘 예루살렘 구시가지에서 지난 12일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작성한 쪽지. 히브리어로 "암사자와 같이 일어나고 수사자처럼 일어서는 백성"이라는 성경 구절이 적혀 있다. 다음날 이스라엘은 이란을 상대로 대대적인 공습 작전 '일어나는 사자'를 개시했다.

 


2025년 이란-이스라엘 분쟁 당시 미사일 요격 장면 또는 피해 상황

2025년 '일어나는 사자' 작전과 이란의 미사일 보복 공격

 

 

🌍현재 진행형: 중동의 지각변동

💥저항의 축 붕괴

하마스, 헤즈볼라, 팔레스타인 이슬람 투쟁 운동,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아린 알우수드, 후티 등 친이란 반이스라엘 성향 무장단체들 대부분이 궤멸 수준의 타격을 입었습니다.

시리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은 아예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축출되어 저항의 축이 사실상 붕괴된 상황입니다.

🗳️네타냐후의 정치적 계산

네타냐후는 수많은 범죄와 비리를 저질러 이미 기소된 상황이라 권좌에서 내려오는 순간 확실하게 징역살이를 각오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일각에서는 이번 대이란 공격이 정국 전환을 위한 의도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국제 정세의 변화

도널드 트럼프의 재집권과 함께 미국의 중동 정책에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을 사전에 알고 있었으며, 제한적이나마 지원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마무리: 끝나지 않는 이야기

이스라엘과 주변국들의 전쟁사를 들여다보면, 단순한 영토 분쟁을 넘어선 문명과 종교, 민족 정체성의 충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아브라함 시대부터 현재까지 4000여 년간, 이 작은 땅은 인류 역사상 가장 치열한 갈등의 무대였습니다.

🔄반복되는 패턴

고대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 7족속과 벌인 정착 전쟁에서부터 현재 이란과의 핵 갈등에 이르기까지, 이스라엘의 역사는 생존을 위한 끝없는 투쟁의 연속이었습니다.

다윗왕이 블레셋을 물리치고 솔로몬이 성전을 건축했듯이, 현대 이스라엘도 주변의 위협에 맞서 국가를 건설하고 방어해왔습니다.

🕊️평화의 가능성

하지만 전쟁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지는 못합니다. 이집트와의 평화협정이 보여주었듯이, 때로는 용기 있는 평화의 시도가 수십 년간의 전쟁보다 더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이란과의 갈등이 어떻게 끝날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역사가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것은, 이 땅의 갈등은 단순히 군사력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진정한 평화는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공존의 길을 모색할 때만 가능할 것입니다.

🌅희망의 메시지

오늘도 예루살렘 하늘 아래에서는 유대인과 아랍인, 기독교도와 무슬림들이 각자의 신앙을 품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이들이 진정으로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는 희망을, 우리는 포기할 수 없습니다.


예루살렘에서 함께 생활하는 다양한 종교인들의 모습

성묘 교회와 서쪽 벽을 비롯한 예루살렘의 주요 명소 

 

성묘 교회와 서쪽 벽을 비롯한 예루살렘의 주요 명소

 

 

성묘 교회와 서쪽 벽을 비롯한 예루살렘의 주요 명소
성묘 교회와 서쪽 벽을 비롯한 예루살렘의 주요 명소

평화로운 공존을 꿈꾸는 예루살렘의 일상

"다음 세대에는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창을 쳐서 낫을 만들며, 나라와 나라가 칼을 들고 서로 치지 아니하며 다시는 전쟁을 연습하지 아니하리라"

- 이사야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