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산 관리

한국가스공사(036460) 투자 분석 보고서

by 자신감 있는 표정을 지으면 공감 하트가 생긴다 . 2025. 7. 12.
반응형

한국가스공사 대구 본사 사옥.(사진=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036460) 투자 분석 보고서

종목코드: 036460 | 분석일: 2025년 7월 12일

📊 Executive Summary (투자 등급: A-)

Bottom Line: 한국가스공사는 2024년 4분기 영업이익 1.2조원(+122.1% YoY)을 기록하며 실적 개선세를 지속하고 있다. 미수금 회수 본격화정부 가스요금 현실화 정책이 핵심 투자 포인트다. PBR 0.36배 저평가 상태에서 **배당수익률 3.20%**와 배당 재개 기대감이 매력적이나, 미수금 14조원 부담국제 LNG 가격 변동성이 주요 리스크 요인이다.


💰 주요 재무지표 및 현재 주가

현재 주가 정보

  • 현재가: 45,500원 (전일 대비 -200원, -0.44%)
  • 시가총액: 4조 2,002억원
  • PER: 3.79배 | PBR: 0.36배 | EPS: 12,001원
  • 추정 PER: 4.90배 | 추정 EPS: 9,283원
  • 52주 최고: 53,800원 | 52주 최저: 29,600원
  • 배당수익률: 3.20% | 주당배당금: 1,455원 (2023년 기준)

2024년 실적 현황

  • 4분기 매출액: 10.0조원 (전년동기 대비 -5.9%)
  • 4분기 영업이익: 1.2조원 (전년동기 대비 +122.1%)
  • 4분기 당기순이익: 3,324억원 (흑자전환)
  • 연간 매출: 38조원 (전년 대비 -14% 감소)

2025년 1분기 실적

  • 매출액: 12.7조원 (전년동기 대비 -0.6%)
  • 영업이익: 8,339억원 (전년동기 대비 -9.5%)
  • 당기순이익: 3,675억원 (전년동기 대비 -9.6%)

🏢 사업 개요 및 경쟁력

핵심 사업

한국가스공사는 1983년 한국가스공사법에 의거 천연가스의 개발, 제조 및 공급과 그 부산물의 정제, 판매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시장형 공기업이다. 해외의 천연가스 생산지로부터 LNG를 도입하여 국내의 발전사(한전발전 자회사 및 민자발전사) 및 도시가스사에 전국 배관망과 탱크로리 등을 통해 공급하고 있다.

경쟁 우위 요소

  1. 독점적 시장 지위: 국내 천연가스 시장을 100% 점유
  2. 전국 인프라: 전국 배관망과 LNG 저장설비 보유
  3. 안정적 공급망: 카타르, 호주, 미국, 오만, 말레이시아 등으로부터 중장기 도입계약을 통해 도입
  4. 신사업 추진: LNG 벙커링, 해외 Gas to Power, 냉열 등 신규 사업과 수소에너지 사업 추진
  5. 해외사업 다각화: 한국가스기술공사 등의 종속회사를 통해 해외 플랜트 사업과 자원개발사업 영위

📈 산업 전망 및 성장 동력

글로벌 LNG 시장 전망

한국은 LNG 도입량에서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3년 우리나라의 LNG 도입은 4,412만톤으로 전년대비 약 4.9% 감소했다. LNG는 청정성, 안전성, 편리성, 경제성 등 장점으로 수요가 1987년 1,612만톤에서 2022년 4,383만톤으로 급증했다.

에너지 전환과 천연가스의 역할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공급 시스템 대전환 과정에서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유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천연가스의 역할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장 동력

  1. 미수금 회수: 2025년부터 본격적인 미수금 회수 구간 진입
  2. 가스요금 현실화: 정부의 민수용 가스요금 인상 정책
  3. 해외사업 확장: 호주 Prelude 광구, 이라크 Zubair 광구, 모잠비크 KGM 광구 등
  4. 신사업 성장: 수소에너지, LNG 벙커링 등 신규 사업 확대

⚖️ 투자 포인트

💪 Strengths (강점)

  1. 독점적 시장 지위: 국내 천연가스 시장 100% 점유
  2. 실적 개선: 2024년 4분기 영업이익 122.1% 증가
  3. 저평가: PBR 0.36배로 장부가치 대비 크게 저평가
  4. 배당 매력: 배당수익률 3.20%, 3년만 배당 재개 기대
  5. 정부 지원: 미수금 회수를 위한 정부의 세제 및 특별회계 지원

🔍 Opportunities (기회)

  1. 미수금 회수: 14조원 규모 미수금의 본격 회수 시작
  2. 요금 인상: 민생 안정 차원에서 억제되어 온 가스요금 현실화
  3. 해외사업 확대: 모잠비크 KGM 광구 생산 본격화로 745억원 이익 기여
  4. 에너지 전환: 탄소중립 과정에서 천연가스의 전환연료 역할
  5. 신사업 성장: 수소에너지, LNG 벙커링 등 신규 사업 확대

⚠️ 위험 요소 및 투자 리스크

🔻 Weaknesses (약점)

  1. 막대한 미수금: 2025년 1분기 14조 871억원의 미수금 부담
  2. 정부 정책 의존: 가스요금 정책과 미수금 회수 속도에 의존
  3. 배당 불안정성: 2008년 이후 배당 지급이 불규칙적
  4. 공기업 한계: 정부 정책에 따른 공공성 우선 운영

⚡ Threats (위협)

  1. LNG 가격 변동: 국제 LNG 가격 상승 시 미수금 재증가 리스크
  2. 중동 리스크: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원유·LNG 가격 급등 가능성
  3. 에너지 전환: 재생에너지 확산으로 장기적 천연가스 수요 감소
  4. 금리 리스크: 투자보수 등에 영향을 미치는 금리 변동성
  5. 정부 정책: 민생 안정 차원의 요금 동결 정책 지속 가능성

📊 재무 건전성 분석

미수금 현황

  • 2025년 1분기: 14조 871억원 (전분기 대비 395억원 증가)
  • 도시가스용: 14조 3,178억원
  • 발전용: 9,927억원

부채 구조

  • 부채비율: 소폭 개선 추세
  • 차입금: 상당한 수준이나 안정적 관리

🎯 투자 의견 및 목표가

투자 등급: A- (적극매수)

투자 논리

  1. 밸류에이션: PBR 0.36배로 극도로 저평가
  2. 실적 개선: 영업이익 흑자전환 및 지속적 개선
  3. 미수금 회수: 2025년 본격 회수로 재무구조 개선
  4. 배당 재개: 3년만 배당 재개로 배당수익률 매력
  5. 정부 지원: 요금 현실화 및 미수금 회수 정책 지원

리스크 관리

  • 단기 리스크: LNG 가격 변동성, 미수금 회수 속도
  • 중장기 리스크: 에너지 전환, 재생에너지 확산

목표 주가: 48,000원 (현재가 대비 +5.5%)

  • Time Horizon: 12개월
  • 근거: DCF 기준 (WACC 2.8%, 영구성장률 0.8%)
  • KB증권 목표가와 일치: 투자의견 Buy 유지

📋 투자 전략 제언

추천 투자 방식

  1. 가치투자: PBR 0.36배 저평가 매력 활용
  2. 배당투자: 배당 재개 기대 및 배당수익률 매력
  3. 장기보유: 미수금 회수 과정의 점진적 개선

진입 시점

  • 적극 매수: 45,000원 이하 (현재 수준)
  • 관심 매수: 45,000-47,000원
  • 관망: 48,000원 이상

주요 모니터링 포인트

  1. 미수금 회수 진행상황: 분기별 미수금 감소 추이
  2. 가스요금 인상: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 인상 여부 및 폭
  3. LNG 가격 동향: 국제 LNG 가격 변동과 미수금에 미치는 영향
  4. 배당 정책: 2025년 배당 재개 여부 및 배당 규모
  5. 해외사업: 모잠비크 등 해외 광구 생산량 및 수익 기여도

🔔 투자 시 고려사항

투자 적합성: 저평가 가치주 선호, 배당 중심 안정형 투자자

주의사항:

  • 미수금 회수 속도가 예상보다 지연될 경우 주가 하방 압력
  • 국제 LNG 가격 급등 시 미수금 재증가 리스크
  • 정부 정책 변화에 따른 사업 환경 변동성

핵심 투자 테마:

  • 미수금 회수: 14조원 규모 미수금의 점진적 회수
  • 배당 재개: 3년만 배당 지급 기대감
  • 저평가 해소: PBR 0.36배 극도 저평가 상태에서의 밸류업

본 보고서는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