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5편 5.18 , 민주주의를 기억하는 날: 기념일과 주요 행사 소개
하루의 기념은, 역사의 반복을 막는 힘이 됩니다.
1980년 5월 18일, 광주 시민들이 외쳤던 자유와 정의는 오늘도 살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의 의미와 국가 및 지역 단위 주요 행사들,
그리고 참여 방법을 소개합니다.
1. 5월 18일은 무슨 날인가요?
- 정식 명칭: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 지정일: 1997년 5월
- 법적 근거: 「5·18 민주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제11조
- 의미:
- 군부 독재에 맞서 싸운 광주 시민의 민주화 정신 계승
- 희생자들의 명예를 기리고 역사적 진실을 교육
- 국민 통합과 역사 화해의 상징
복사편집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후 매년 5월 18일, 전국에서 기념식과 추모행사가 열립니다.



2. 주요 국가행사
● 중앙기념식 (국가보훈처 주관)
- 장소: 국립 5·18 민주묘지 (광주 북구)
- 일시: 매년 5월 18일 오전 10시
- 형식:
- 국민의례
- 헌화 및 분향
- 유족 대표 추도사
- 대통령/국무총리 참석 기념사
- 5·18 추모곡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 중계: KBS, MBC, YTN 등 주요 방송 생중계
※ 2023년에는 여야 대표, 전직 대통령 가족, 시민 5,000명 이상이 참석하여
‘역사적 화해’의 상징적 의미를 더함.
3. 광주 지역 행사 (5월 한 달간)
● 오월의 문화제
- 기간: 5월 초~말
- 주최: 광주시, 5·18재단
- 행사:
- 거리 퍼레이드 & 시민참여 공연
- 시민 기록사진전 / 추모시 낭송
- 청소년 역사골든벨, 체험 부스
- 도심 야간 추모 콘서트 등
● 금남로 오월광장 추모행진
- 내용: 1980년 시민군의 이동 경로를 따라 도보 행진
- 참여: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 가능
- 의미: 당시의 감정과 절박함을 신체로 경험하는 상징적 행사
● 민주의 종 타종식
- 장소: 5·18 기념문화센터
- 시간: 5월 18일 오전 10시 정각
- 행사: 5월의 영령들을 위한 진혼의 종 울림 33타
4. 전국 연계 행사
- 서울, 부산, 대전, 대구 등 주요 광장/보훈회관에서 동시 추모식 개최
- 학생/공무원 대상 역사특강, 다큐멘터리 상영
- 온라인 헌화/기록관 탐방 콘텐츠 운영 (5·18기념재단 공식 홈페이지)
5. 내가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 온라인
- 5·18기념재단 홈페이지 → 헌화 참여, 희생자 소개, 디지털 전시
- 유튜브 생중계 시청 및 댓글 추모 참여
- SNS 해시태그 참여: #오월을기억합니다 #5·18기념일
- 오프라인
- 각 지자체별 기념행사 참여
- 민주묘지 방문 후 방명록 작성
- 가족 단위 역사체험 참가 (초·중·고교 대상 프로그램 운영)
마무리: 기념일은 멈추는 날이 아니라, 다시 시작하는 날입니다
기억은 행동으로 완성됩니다.
올해 5월 18일, 한 번쯤 묵념하고 걷고, 노래하고 말하는 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오월은 슬픔이지만, 동시에 희망입니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대한민국 구석구석 > 생활 정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물가 시대, 대학생을 위한 '천원매점'이 온다! (1) | 2025.05.06 |
---|---|
[6/6편] 5.18 광주를 지켜낸 사람들: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인물과 이야기 (0) | 2025.05.06 |
[4편/6편] 5.18 민주화운동을 기억하는 공간: 기념관과 참배지 5곳 (0) | 2025.05.06 |
[3편/6편]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다룬 영화·드라마 추천 5선 (1) | 2025.05.06 |
[2편/6편] 5.18 민주화운동 피해자, 가족, 그리고 진실 규명: 우리가 아직 알아야 할 이야기 (4) | 2025.05.06 |